사계의 질감
예술 감독 심연옥
디자이너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섬유전공
우리나라는 한 해를 두고 사계절의 변화가 뚜렷하여, 예로부터 계절과 때에 따라 합당한 옷감으로 한복을 지어 입고 생활해 왔습니다. 근현대를 거쳐 의생활 문화가 변화하면서, 시대마다 공감해 온 전통직물과 한복 문화의 멋이 잊혀가고 있습니다.
《사계의 질감》은 봄·여름·가을·겨울 전통옷감으로 지은 한복을 통해 우리 복식의 다채한 아름다움을 조명하고자 합니다. 전시 공간은 전통의 생활 공간을 현대적으로 구현하고자 하였으며, 사계의 순환을 상징하며 전경을 연속적으로 관람할 수 있도록 기획하였습니다. 또한, 사계절의 변화를 일생에 비유하여 봄은 젊은이들과 혼례를 시작으로 여름, 가을을 지나 노년에 이르러, 겨울에 회혼례를 맞는 부부의 모습으로 구성하였습니다.
《사계의 질감》은 봄·여름·가을·겨울 전통옷감으로 지은 한복을 통해 우리 복식의 다채한 아름다움을 조명하고자 합니다. 전시 공간은 전통의 생활 공간을 현대적으로 구현하고자 하였으며, 사계의 순환을 상징하며 전경을 연속적으로 관람할 수 있도록 기획하였습니다. 또한, 사계절의 변화를 일생에 비유하여 봄은 젊은이들과 혼례를 시작으로 여름, 가을을 지나 노년에 이르러, 겨울에 회혼례를 맞는 부부의 모습으로 구성하였습니다.
전통직물 아카이브
예술 감독 심연옥
디자이너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섬유전공
전통직물 아카이브는 우리 옷감의 다양성을 한눈에 조망하고, 소재의 질감과 특징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사계절의 복식 작품에 사용된 직물을 비롯하여 전통직물 중 역사성과 대표성, 활용 가치 등을 고려하여 선별한 아카이브 자료입니다.
특히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섬유전공 학생들이 제직한 전통 모시와 춘포·교직물 등과 은조사ㆍ항라 등의 사직물, 문직기를 사용한 다양한 문단이 소개되며, 전통섬유복원연구소에서 수년간의 연구를 거쳐 복원한 금사와 직금(織金) 직물, 고대직물인 경금(經錦)·위금(緯錦)·라(羅) 등도 함께 선보입니다.
특히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섬유전공 학생들이 제직한 전통 모시와 춘포·교직물 등과 은조사ㆍ항라 등의 사직물, 문직기를 사용한 다양한 문단이 소개되며, 전통섬유복원연구소에서 수년간의 연구를 거쳐 복원한 금사와 직금(織金) 직물, 고대직물인 경금(經錦)·위금(緯錦)·라(羅) 등도 함께 선보입니다.
전통직물 직조 시연
예술 감독 심연옥
디자이너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섬유전공
전통직물 직조 시연은 전통직물의 생생한 제작 현장을 구현하여 대중의 이해를 높이고자 기획하였습니다. 전통직조에 사용한 직기는 직물 종류에 따라 사람이 손수 짜는 베틀과 문직기 등이 있으며, 오늘날에는 기계 생산으로 다양한 산업용 직기가 활용됩니다. 이번 시연에는 모시·삼베·무명·명주 등을 직조하기 위해 전국적으로 폭넓게 사용해 온 ‘전통 베틀’과 아울러 서천 지역의 ‘개량 베틀’이 선보입니다.
시연과 더불어 전시품 구성에는 전통직물에 사용하는 섬유의 원재료인 저마ㆍ대마ㆍ면ㆍ견 등과 제사 관련 공정별 재료, 도구 등을 포함하였습니다.
*시연 운영 기간 : 2025.8.8.(금)~2025.8.10.(일) *오후 12시~1시 제외
시연과 더불어 전시품 구성에는 전통직물에 사용하는 섬유의 원재료인 저마ㆍ대마ㆍ면ㆍ견 등과 제사 관련 공정별 재료, 도구 등을 포함하였습니다.
*시연 운영 기간 : 2025.8.8.(금)~2025.8.10.(일) *오후 12시~1시 제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