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통합검색

보도자료

《2023 올해의 공예상》 선정 발표
작성자이유림 조회수783
작성일2023-10-23
사업부서
공예정책팀
사업담당자
황선규 주임 (02-398-7952)
홍보부서
전략기획팀
홍보담당자
이유림 주임(02-398-7918)


2023 올해의 공예상선정 발표




- 창작부문-이상협 공예가, 매개부문-고려아연 선정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 이하 문체부)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원장 장동광, 이하 공진원)2023 올해의 공예상수상자로 이상협 공예가(창작부문)와 고려아연 주식회사(매개부문, 이하 고려아연)을 선정, 발표했다.

 

올해로 6회째를 맞이하는 올해의 공예상은 한국공예 발전에 기여하며 국내외에서 활발한 창작활동을 이어가는 창작자와 공예문화를 널리 알리는 데 기여한 매개부문의 개인이나 단체에 수여하는 상으로 2018년 제정되었다. 올해에도 이론 및 평론, 전시기획, 언론 각 분야의 전문가로 심사위원단을 구성하여 작품성, 기여도, 지속성, 공공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 공정한 심사를 거쳐 수상자를 결정했다.

 

2023 올해의 공예상창작 부문 - 이상협 (금속공예가)

 

창작부문 수상자인 이상협 공예가(금속공예)는 금속 소재의 판을 망치로 두드려 형태를 만드는 단조기법으로 작품을 제작한다. 대표작인 달항아리는 무게 11kg의 은판을 망치로 수만 번 두드리고 펼쳐가며 완성한 작품으로 무려 높이 50cm가 넘는 작품을 선보이기도 하였다.

이처럼 작가는 재료의 특성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전통도자에서 영감을 받은 한국적인 아름다운 조형미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작품활동으로 인정받았다. 영국 유니버시티 아츠 런던에서 재학 중 영국 금속공예협회 골드스미스 컴퍼니(Goldsmiths Company)가 주최하는 Young Designer Silversmith Award에서 대상을 수상하며 세계적인 주목을 받기 시작하여, 주요 박물관 및 미술관에 작품이 소장되는 등 20여 년간 다양한 국내외 개인전과 단체전 활동으로 한국 금속공예 실력을 세계에 선보이는 동시에 해외 공예계와의 네트워크 형성 및 한국 공예문화의 확장에 기여한 노력이 높이 평가받았다.

 

2023 올해의 공예상매개 부문 고려아연

 

매개부문 수상단체인 고려아연은 글로벌 종합 비철금속 소재기업으로 금속공예 분야의 문화가치사슬을 형성하기 위해 젊은 금속공예가들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고려아연은 2013년부터 10년째 금속공예가의 발굴과 양성을 위해 유리지공예관에서 주관, 운영하는 올해의 금속공예가상의 운영비와 상금 전액을 후원하여 한국 현대 금속공예분야 창작기반 조성에 크게 기여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받았다.

 

올해의 공예상 수상자에게 수여되는 트로피는 공예가 지닌 역사성을 상기하고 공예의 미적가치를 상징적으로 표현하여 수공예로 직접 제작하여 시상하고 있다. 트로피는 고보형 공예가(2019년 창작부문 수상자/한양대학교 산업미술학과 교수)가 제작할 예정이다.

 

2023 올해의 공예상수상자에는 공예상징을 담은 특별제작한 트로피와 함께 상금(창작부문 1,500만원/ 매개부문 500만원)과 문체부장관 표창장이 수여될 예정이며, 시상과 전시(창작부문 선정자 이상협 공예가)<2023 공예트렌드페어> (2023.12.14.~17. /코엑스 C)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올해의 공예상 역대 수상자


연도

창작 부문

매개 부문

2018

이헌정 공예가(도자)

아원공방(유통)

2019

고보형 공예가(금속)

아름지기(전시기획)

2020

하지훈 공예가(가구)

일상예술창작센터(창작지원)

2021

김준용 공예가(유리)

우드플래닛(매거진)

2022

김혜정 공예가(도자)

재단법인 예올(창작지원)


[붙임 1] 2023 올해의 공예상 수상자 주요 공적

[붙임 2] 2023 올해의 공예상 트로피. .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이(가)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