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목차
목 차ㅣ
01 개관
1절. 2022 공예백서의 목적 및 연구 방법
1. 목적
2. 연구 방법
2절. 공예의 정의와 범주
1. 공예의 정의와 범주
2. 공예 분야별 정의와 범주
3절. 2022 공예백서의 구조
02 공예정책
1절. 동향
2절. 현황 분석
1. 법률 및 조례
2. 조직과 인력
3절. 전망과 과제
1. 전망
2. 과제
03 공예산업
1절. 동향
2절. 현황 분석
1. 공예 공급
2. 공예 수요
3절. 전망과 과제
1. 전망
2. 과제
04 공예행사
1절. 동향
2절. 현황 분석
1. 분류별 현황
2. 유형별 현황
3절. 전망과 과제
1. 전망
2. 과제
05 공예연구
1절. 동향
2절. 현황 분석
1. 학위논문
2. 학술논문
3. 출판물
4. 연구보고서와 자료집
5. 학술행사
3절. 전망과 과제
1. 전망
2. 과제
06 공예교육
1절. 동향
2절. 현황 분석
1. 학교교육
2. 사회교육
3절. 전망과 과제
1. 전망
2. 과제
07 해외사례 : 일본
1절. 근·현대 일본 공예의 흐름
1. 근·현대 공예의 개념
2. 메이지 시대 여러 제도와 공예
3. 메이지 시대 말기 이후 공예 혁신
4. 현대공예 초절기교의 전통과 혁신
2절. 일본 공예의 정책 동향
1. 메이지 시대의 공예정책
2. 문화재보호법
3. 농상무성의 지역에 기반을 둔 공예품 육성사업
4. 경제산업성의 전통 공예품에 관한 법률 및 현황
5. 일본예술문화진흥회와 국제교류기금
6. 일본 공예회의 현황
7. 문화청의 문화예술을 위한 정책
8. 공예 관련 레지던시 현황
9. 그 외 지방의 공예, 디자인 관련 센터
3절. 시사점
참고문헌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이(가)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이전글
- 2022 공예백서 참고자료
- 다음글
- 한복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