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간행물
목차
목차
관점
004 시작하며
“대충 만들면 천년을 사기 치는 것” | 사진가 이동춘
한지의 확장
불로 태운 한지, 종이와 불의 파격적 협업 | 아티스트 김민정
패스트패션에 대한 반성 | 텍스타일 작가 이선
한지는 그 자체로 완성된 작품 | 설치 작가 고소미
책을 보수하는 데 한지만 한 재료는 없다 | 예술제본가 조효은
공간
한지에 관한 모든 것 | 서울 북촌 한지문화산업센터
대화
062 장지방張紙房 장성우
“쉬운 길을 찾는 습성이 몸에 배면 한지는 못 만든다”
탐구
078 이슈
벤치마킹이 아닌 퓨처마킹의 시대가 왔다 | 국민대학교 도자공예학과 교수 박중원
전통공예가 예술공예의 열쇠가 될 순 없을까? | 전남대학교 미술학과 공예전공 교수 김현주
실험
“한지는 매우 독특한 방식으로 물감을 흡수한다” | 프랑스 화가 클로드 비알라
디자인 리포트
한지, 모호함으로 거대해진 사용성 | 디자인평론가 김신
탐구
그 자체로 아름다움이 되는 예술 | 한지조형예술가 신진경
소식
118 해외통신
프랑스 | 오늘날까지 유효한 혁명 | 〈인쇄하다! 구텐베르크의 유럽〉
일본 | 디지털 기술을 만난 일본 공예 | 종이 작가 구니코 마에다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소식
우리공예·디자인리소스북
사철을 봄으로 사는 비단꽃 | 한눈에 보는 채화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이(가)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이전글
- 공예+디자인 제59호
- 다음글
- 공예+디자인 제57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