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공모
공모요강 Guidelines for Open Call 해외문화예술기관 협력전시행사 지원 공모 Competition for the Fund for Cooperative Korean Craft Project Abroad |
문화체육관광부와 (재)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은 한국 공예 작가의 해외 진출을 견인하고 공예 작품의 해외 유통망 확대를 위해 「해외문화예술기관 협력전시행사 지원」 공모 사업을 추진하오니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
□ 공모개요
ㅇ (공 모 명) 해외문화예술기관 협력전시행사 지원 공모
ㅇ (모집규모) 총 4개처 내외
ㅇ (지원규모) 선정처 당 최대 칠천만원(₩70,000,000)
ㅇ (신청기간) 2024. 3. 13.(수) ~ 2024. 4. 17.(수) 11:59 *오전 11시59분
- 한국 시간 기준
ㅇ (신청방법) 이메일 접수 / kcdfglobal@kcdf.kr
□ 상세내용
구분 |
내용 |
||||||||||||
공모명 |
2024 해외문화예술기관 협력전시행사 지원 공모 |
||||||||||||
공모목적 |
한국 공예의 우수성 홍보 및 한국 작가·작품의 해외 진출 견인, 유통망 확대 |
||||||||||||
공모기간 |
2024. 3. 13.(수) ~ 2024. 4. 17.(수) 오전 11시59분 *한국 시간 기준 |
||||||||||||
접수방법 |
이메일 접수 / 접수처: kcdfglobal@kcdf.kr |
||||||||||||
제출서류 |
■ 지원신청서 (추가) 기관 소개 자료 및 포트폴리오, 전시행사 추진 확정 증빙 자료, 참여작가·출품작 이미지 등 |
||||||||||||
지원대상 및 내용 |
■ 지원대상 : - 국외 박물관·미술관(국공립 및 공식 운영위원회를 보유한 민간 박물관·미술관) - 국내 공예·문화예술 기관, 단체 및 사업체, 기획자 ■ 지원내용 : 국외 한국 공예 전시 및 부대행사 - 전시 : 한국 공예 작가(작품)의 기획전시, 초청전시, 판매전시 등 - 행사 : 한국 공예 작가 초청 행사(아티스트 토크 등), 한국 공예 주제의 워크숍· 세미나·포럼·체험행사 등
|
||||||||||||
지원전시의 개최기간 |
2024년 7월 ~ 2025년 11월 2024년 7월 이후~2025년 11월 이전 개막하는 전시행사에 한해 지원 |
||||||||||||
지원불가대상 |
■ 동일 대표자 명의의 기관, 단체, 사업체의 중복 지원 불가 ■ 정부·지자체·공공기관에서 지원 받는 전시행사 대상 동일항목 예산 편성 불가 및 타 기관 중복 수혜 불가 사업 대상자의 경우 택일하여 지원 가능 ■ 각종 단체 협회전, 학교 전공학과·동아리 학위청구전·졸업전·과제전 등 불가 ■ 아트페어, 크래프트·디자인위크 등 부스 참가 지원 불가 ■ 재외한국문화원 장소 사용 행사 지원 불가 |
||||||||||||
지원규정 |
■ 자부담금 전체 사업비 대비 30% 이상 책정 필수 및 기타 후원 가능 (예) 지원금 7천만원+자부담금 3천만원=전체사업비 1억원 ■ 정부·지자체·타공공기관 지원사업 중복신청 가능 및 동일항목 예산 편성 불가 * 중복수혜 불가인 타 기관 지원 사업에 동시 선정되었을 경우, 택일 지원 ■ 지원처와 전시 참여작가 간 출품 사전 협약(계약) 필수 ■ 국내 지원대상의 경우 국외 전시 개최지 확보 필수(재외한국문화원 불가) 국외 소재 유관기관 비롯 아트센터, 유수 갤러리, 브랜드 스토어 등 ■ 국외 지원대상의 경우 한국 파트너 협업 또는 한국 인력 협조 필수 한국어 가능자 필수 구성 서류 접수 및 심사 시 한국어 기준으로 진행(지원신청서 국문 제출 필수) |
||||||||||||
지원규모 |
■ 연간 기관당 최대 7,000만원 * 전체 사업비 최대 1억원 기준 - 작품 운송비, 시공설치비, 홍보비, 통번역비, 참여작가 여비
* 최종 선정 시 지원금액 확정 및 최초 신청 금액에서 변동될 수 있음 |
||||||||||||
지원항목 |
|
||||||||||||
지원방식 |
사업 선정 → 1차 교부 → 사업 추진 → 2차 교부 → 정산 및 결과보고 *연속 지원처의 경우 정산 단계에서 별도 결과 검토 후 연속지원 여부 결정 |
□ 신청방법
ㅇ (신청기간) 2024. 3. 13.(수) ~ 2024. 4. 17.(수) 11:59 *오전11시59분
- 한국 시간 기준
ㅇ (신청방법) 이메일 접수 / kcdfglobal@kcdf.kr
- 지원신청서 및 기타 자료를 전자파일 형태(Word, Pdf) 제출
ㅇ (신청서류) 지원신청서(Application Form) 필수 및 추가 자료 선택 제출
- 추가 자료 : 기관 소개자료(역대 포트폴리오, 전시행사 홍보 보도자료 등),
전시행사 추진 확정 자료(공식 초청 문서, 국내외 기관 협의 증빙 자료 등),
작가·작품 세부 이미지 자료 등
※ 국문본 제출 필수 및 영문본 추가 제출 가능
※ 전체 메일 용량은 10MB 이하 / 제출서류 압축 권장
□ 선정처 의무사항
ㅇ 지원금 신청 관련 서류 및 증빙서류 안내 기한 내 제출
ㅇ 사업종료 후 1개월 이내 결과보고 자료 제출
ㅇ 지원신청서의 내용이 변경될 경우 공진원과의 사전 협의
ㅇ 사업비로 제작되는 모든 홍보인쇄물에 문화체육관광부, (재)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로고 삽입 및 영문 명칭 표기
ㅇ 이 외 (재)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과의 적극적인 의사소통 협조
□ 유의사항
ㅇ 선정처 의무사항 미준수 및 아래 사유로 심사 결과 및 지원 여부가 변경, 취소될 수 있으며, 지원금 전액은 환수 조치 될 수 있음
- 제출된 서류에 기재된 내용이 사실과 다를 경우 - 제출된 증빙자료가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될 경우(지원항목 외 지출 등) - 지원이 확정된 단체가 전시행사를 취소하는 경우 - 합당한 사유 없이 해당 사업 관련 서류 미제출 하는 경우 - 지원금 횡령, 착복, 부적절한 집행 및 이를 시도한 경우 - 성희롱·성폭력 등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경우 - 문화체육관광부 및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의 주요 방침을 불이행한 경우 |
□ 심사안내
ㅇ (심사방법) 1차 서류심사 → 2차 발표심사
ㅇ (심사절차)
- 1차 서류심사 : 필수서류 및 추가자료 심사
- 2차 발표심사 : 1차 심사 통과자 대상 PT 및 인터뷰 심사
* 2차 발표심사는 온라인 진행 및 세부 일정·방법 개별 안내 예정
ㅇ (심사일정)
구분 |
일정 |
결과발표 |
기본검토 |
2024년 4월 3~4주차 |
- |
1차서류심사 |
2024년 5월 2~3주차 |
2024년 5월 3주차(예정) |
2차발표심사 |
2024년 5월 5주차 |
2024년 6월 1주차(예정) |
ㅇ (심사기준)
항목 |
세부항목 |
비중 |
계획타당성 |
- 사업계획의 구체성과 예산 합리성 - 전시행사 기획의 목적성과 타당성 |
25% |
운영역량 |
- 수행체계 및 인력구성의 적절성, 전시행사 추진 역량 - 기관 중요도·인지도 |
25% |
네트워크 활성화 |
- 국제적 네트워크 확장 가능성 - 한국 공예가의 지속적인 해외 진출 기여도 |
25% |
한국공예 홍보효과 |
- 전시행사의 사후 파급 효과 - 세계 시장에서의 한국 공예 공헌 가능성 |
25% |
ㅇ (결과발표) (재)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공식 누리집 공지 및 선정처 개별 공지
□ 문의처
ㅇ (재)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공예문화산업팀 :
E. kcdfglobal@kcdf.kr / T. 02-398-7936